사는 이야기 신혼집에 손님방 만들라는 시어머니의 속뜻 2022.05.10 허락맡고 씻으라는 아랫집 아줌마 2022.05.05 남편이 어버이날 각자 부모님댁에 따로 가자고 2022.05.04 more 세금에 대한 모든 것 연말정산 시작! 연금저축과 의료비 세금공제 이렇게 준비하세요 13번째 월급을 탈 수 있는 연말정산의 시즌이 되었습니다. 대다수의 직장인분들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로 자동으로 조회하고 회사에 제출하기만 하면 알아서 해주니 신경쓰지 않을 수 있지만, 개인이 챙길 수 있는 몫은 반드시 챙겨서 추가로 세금공제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의무적으로 영수증을 발급해주지 않는 항목(의료비나 기부금 등)들은 본인이 스스로 챙기셔야 함을 절대 잊으면 안됩니다. 2020 연말정산 준비에 앞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저축은 무엇인지, 의료비로 나간 비용들은 어떻게 챙겨야 공제혜택을 더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 연금저축, 청약저축 연금저축에 가입되어 16.5%의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에 천만원의 금액을 납입했다면 .. 2020.12.05 상속세와 증여세, 어떻게 활용해야 세금을 덜 낼까? 요즘 세금관련 문제 중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상속세는 의외로 뜻하지않게 내야할 때가 생깁니다. 제 주변에도 의외로 먼 친척이나 잊고지낸 가족으로부터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 일이 생기곤 하더라고요. 저에게도 한 번쯤은 일어났으면 좋겠건만 왜 이런일은 나에겐 일어나지 않는건지....ㅎㅎ;; 🔸상속세는 단어 그대로 재산을 누군가로부터 상속받았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세금이라고 해서 덜컥 겁내실 필요는 없습니다. 상속공제 한도가 적용되거나 본인이 1인 가구일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개개인의 보유재산이나 소득수준 등 다양한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속세 절세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경험하는 상속세는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 2020.11.12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얻게되는 효과 우리나라는 전자상거래 수출입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경쟁력이 약한편이지만 올해 코로나19 이후로 성장속도가 매우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시대의 변화 흐름을 보면 아마 빠른 시일내에 '온라인 무역시대'가 수출입의 주를 이루어 국가재정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 정부도 전자상거래 수출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위해 간편수출 플랫폼을 9월부터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관세의 정확한 명칭은 '관부가세'입니다. 관세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물건이 국가에서 국가로 이동하며 세관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흔히 해외에서 물건을 사오면 그 물건 자체에 관세가 붙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다릅니다. 수입해서 사오는 물건의 세금과 그 물건을 구입할 때 발생하는 부가가치세가.. 2020.09.29 독서 휘게라이프, 편안하게 함께 따뜻하게(마이크 비킹/위즈덤하우스) 2020.09.21 정리만 했을 뿐인데, 마음이 편안해졌다 (다네이치 쇼가쿠/북클라우드) 2020.09.18 more